반응형
2025년 부산 아파트 전세가율 64.6% 기록했습니다.
여기서는 해운대·수영구·동래구 등 주요 지역 전세시장분석 및
리딩아파트가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부산 전세가율 상승과 부동산 시장 변화
2025년 1월 기준 부산 아파트 전세가율은 64.6%로 15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.
이는 전국 평균(68.0%)에 근접한 수치로, 특히 해운대구·수영구·동래구(해수동) 지역에서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.
전세가율 상승의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신축 아파트 입주 감소 (2025년 예상 공급량 1만 가구 미만)
- 해수동 지역 주거 수요 증가 (우수한 교육 환경과 인프라)
- 금융 규제 강화로 매매시장 위축
특히 수영구 남천동 '코오롱하늘채골든비치'는 2024년 9월 기준 매매가격이 53% 급등한 반면
전세가는 2.5% 하락하며 지역별 격차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
부산 주요 5개 구별 전세가율 및 리딩아파트 분석
해운대구 | 초고층 아파트 전세 프리미엄
- '시그니엘 부산' (중동): 186㎡ 전세 15억 원 (평당 2,661만 원)
- 해변 조망권 및 초고급 브랜드 영향으로 프리미엄 형성
- 2025년 1월 기준 전세가율 53.2% (부산 평균 대비 낮음)
수영구 | 매매가 급등 vs. 전세가율 하락
- '부산더샵센텀포레': 84㎡ 매매가 8.55억, 전세가 3.9억
- 전세가율 45.6% → 4년 전(2020년) 대비 14.2%p 하락
- 전세가격 안정화로 갭투자 기회 감소
동래구 | 학군 수요로 안정적 성장
- '쌍용 더플래티넘 사직 아시아드': 84.59㎡ 전세가율 53.6%
- 2025년 3월 '동래 반도유보라' 신규 분양(400 가구 예정)
부산진구 | 신규 단지 중심의 가격 재편
- '가야센트레빌': 84.98㎡ 전세 4.5억 (평당 1,747만 원)
- 신축 vs. 구축 아파트 간 가격 격차 79.7%까지 확대
남구 | 해안가 고급 단지의 가치 상승
- '대연비치': 114.68㎡ 전세 8.5억 (평당 2,445만 원)
- 인근 '대연힐스테이트푸르지오'(109.7㎡) 대비 평당가 189만 원 차이
전세가율 상승이 매매시장에 미치는 영향
1️⃣ 전세-매매 가격 연동성 강화
- 수영구처럼 전세가율이 낮은 지역에서는 매매가격이 급등해도 전세시장으로 수요가 이전되지 않음
- 2025년 1월 기준 전국 평균 전세가율(68.0%)과 부산(64.6%) 간 3.4% p 격차
2️⃣ 신규 분양 시장과의 상호작용
- 2025년 상반기 분양 예정 단지 '동래 반도유보라', '한화포레나 부산 당리', '르엘 리버파크 센텀'
- 예상 분양가: 84㎡ 기준 9.2억 원 (기존 단지 전세가 대비 80.4% 높음)
3️⃣ 월세 시장으로의 이동 가속화
- 전세가율 상승으로 인해 월세 선호 증가 전망
- 2025년 하반기 예상 전세가율 65.1%
| 2025년 부산 전세시장 전망
부산 아파트 전세가율 상승은 신축 단지 공급 부족, 지역별 투자 수요 차이, 금융 규제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.
특히 해운대구와 남구의 초고층 고급 단지는 매매-전세 프리미엄을 형성하며 지속적으로 가격을 견인할 가능성이 큰데요. 반면, 수영구 및 부산진구의 구축 아파트는 매매가 상승 대비 전세가율이 하락하는 시장 불균형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.
2025년 부산 부동산 시장 전망
- 전세가율 지속 상승 (65.1%) → 월세 수요 확대
- 신규 분양가 vs. 기존 단지 전세가 격차 증가
- 해수동 지역 중심으로 전세-매매 가격 연동성 강화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
반응형
'알아두면 돈 되는 부동산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후취 담보 대출 완벽 가이드: 대출 절차부터 금리까지 (0) | 2025.03.11 |
---|---|
창원자이 시그니처 취소주택 모집공고! 청약 일정 및 분양가 총정리 (0) | 2025.03.10 |
분양계약서 분실 시 재발급 방법 총정리 | 신청 절차 & 준비 서류 (0) | 2025.03.04 |
가계대출 증가가 집값에 미치는 영향: 정부의 부동산 정책 논의 (0) | 2025.03.03 |
재건축 분담금의 현황과 미래: 2025년 최신 동향 분석 (0) | 2025.03.02 |